1 d

유군갤

유교가 이러니 저러니 해도 중세 기준으로는 대단히 철학적이고 온건한 사상이었지. 윤드로저 풀버전

유교 + 탈레반 유교 극단주의자라는 말인데 우리나라의 유교사상은 사실 공자의 유교가 아닌 유교의 한갈래 성리학을 바탕으로 변질된 유교이다. 여기서는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치라 하면서 정작 선비의 길을 따르지 않는 대신들의 모순에 대해 고뇌하는 등 입체적인 모습이 두드러지며 흑화 직전의 시점에서 주인공의 개입으로 폭군의 길에서 벗어나 이 시대에 만연한 유교탈레반을 쓸어버리고 오키나와를 정복하며 요동을 명나라로부터. 우리는 전통 중국의 다른 많은 면모의 존재까지 부정하면서 그 작업을 추구해야만 하는지 반문할 수 있다. 탈레반이 중공과 접경지고, 같은 이슬람교인 신장위구르 자치주가 중공으로부터 독립을 위해 계속적으로 투쟁하고 있는 상황이라 이들을 연계시키려는 목적이 아니였을까.

Post Opin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