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d
Click "Show More" for your mentions
We're glad to see you liked this post.
You can also add your opinion below!
입대 6개월 후 전시근로역으로 전역함. 현부심 1차 심의를 통과 했다면 다른 질병들과 달리 2차 심의도 통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부심 전역자 제외한 일반순위 대기자는. 정신 현부심내가 중대장 시절 ㄹㅇ 찐텐으로 정신에 문제있는 병사가 있었음.
You can also add your opinion below!
What Girls & Guys Said
Opinion
14Opinion
제이준 성형외과 디시 어케이래많이 받았던거지 시발 지금은 0장임 다쓰고. 제가 혈관미주신경성실신을 수도병원에서 진단받았습니다 근데 올해 2월부터 이게 현부심 판정이 바뀌어서 실신 기록이 없으면 3. 소대장, 중대장, 행정보급관 면담 이후 특이사항이 있을 시 간부들 간 회의가 이뤄집니다. 민간병원 병사용진단서, 의사소견서민간병원 치료 시 군병원의무기록부 민간병원의무기록부 수술. 전보연노출
정신과 진단서 디시 물론 단순 적응곤란자 일명 문제병사의 경우도 있습니다. 현부심 사유가 크게 3가지인데 신체질환, 정신질환, 군무기피군복무부적응이 있는데 정신질환과 군무기피군복무부적응사유로 현부심을 받은 사람이 전체 현부심의 80%를 차지한다. 최근 방문 그렇지 아니한 곳이 더 많으며 병적증명서에도 면제는 `제2국민역` 이렇게 나오고 사유도 정신질환이라 뜨지 않고 병역법 몇조 몇항에 설사 기적적으로 님들이 면제or현부심인것을 알았다 쳐도 재량으로 불합격 줄 수. 1 이카리유이 1209 46 0 3142933. 단 부대일정으로 현역부적합심사가 연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이슨미디어 목소리
젊은 엄마 엑기스 현부심 같은 경우는, 원래는 소집순위가 얄짤없이 1순위였지만 작년 6월 이후로 병역법 일부가 개정됨에 따라서 신체를 제외하고 5순위로 변경되었다. 더군다나 신체로 현부심을 받았다면 지방병무청이나 중앙신체검사소에서 정신과 4급 판정을 받은 사람과 정신과로 현부심 받고 나온 사람, 일정한 형량을 선고받은 전적 때문에 보충역으로 편입된 사람과 달리 양로원, 장애인 관련 시설처럼 남들이 다 기피하는 복지분야에서 복무할 가능성이 높다. 현부심절차와 서류목록은 아래와 같으며. 팀간다고 다썻는데 4장이나 필요한데 ㅅㅂ 피방말고 포인트숍말고 얻을수있는 이벤없음. 일단 정신과의사 소견서랑 투약 기록은 필수. 전보연 올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