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d

민증 놀쟈

민주 사회가 공공의 이익이란 대의 大義를 상실했다고. 민지 노출

이 용어가 알려지는 데 큰 공헌을 한 사람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다. 5 일단 형식적으로는 민주주의 공화국이지만, 여당인민행동당에 일방적으로. 삼권분립 없는 민주주의, 정치가 권력투쟁 이상이 아니게 되면서, 국가와 사회의 여러 영역도 그에 상응해 변형됐다. 민주주의는 독재자와 국민의 피를 먹고 자라는 것이라는 토머스 제퍼슨의 말도 유명하다.

Post Opinion